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등록절차

굴레벗어 2020. 5. 28. 08:56
반응형

누구나가 아마 다들 처음 하시는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바로 장애인 등록절차에 관한 방법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아무래도 일상생활을 하는게 힘든 장애인 분들이시니 만큼 더 많은 복지가 있어야만 하겠죠.

 

 

그래서 중요한 것이 바로 장애인으로 등록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등록을 하지 않고서는 각종 장애인 프로그램이나 혹은 의료비 지원 혹은 혜택 등을 받을 수가 없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고 하니 장애인의 등록절차에 관한 내용이니 정리해놓은 내용 참고하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장애인의 등록절차에 있어서 가장 첫 과정이자 여러분들이 하셔야 하는 것은 관할 동주민센터에 방문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간혹 시청이나 군청 등으로 향하시는 분들이 더러 있었는데요. 꼭 기억을 해주셔야 하는 것이 관할 동주민센터로 방문을 하셔야 된다는 점이 되겠습니다.

 

 

*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동주민센터로 방문을 하시면 작성해야할 서류 하나가 있는데요. 혹시나 거동이 힘드신 분 혹은 18세 미만의 아동이라면 직접 작성을 하는 것이 아닌 보호자가 따로 신청을 대신 할 수도 있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아무튼 앞서서 말씀드린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라는 서류를 작성하셔서 제출을 하시게 되면 동주민센터에서 장애인진단의뢰서를 여러분께 발급을 해드리는데요. 이 장애인진단의뢰서를 가지고서 병원에 방문을 하신 다음 제출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장애유형에 따라서 방문을 하셔야 하는 병원이 달라진다는 점은 알고 있으시죠? 좀 더 정확하게 이야기를 하자면 장애진단의뢰서를 제출해야 하는 전문의가 달라진다는 것인데요. 간단하게 몇가지 예시를 좀 알려드리자면요.

 

 

* 시각장애 - 시야결손 측정이 가능한 병원의 안과 전문의

* 청각장애 - 청력검사실 및 검사기가 있는 병원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등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중요한 것이 정신장애와 심장장애 그리고 호흡기장애와 간장애 마지막으로 뇌전증장애의 경우 단순히 전문의만 있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들을 일정 기간동안 진료한 전문의에게 방문을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정신장애>의 경우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그리고 <심장장애>의 경우 1년 이상 진료한 병원의 내과 전문의에게 그리고 <호흡기장애>의 경우 2개월 이상 진료한 병원의 전문의에게 그리고 <간장애>의 경우 마찬가지로 2개월 이상 진료한 병원의 전문의에게 마지막으로 <뇌전증장애>는 6개월 이상 진료한 병원의 전문의에게 장애진단의뢰서를 제출하셔야 한다는 점 기억을 해주셔야 하겠는데요.

 

 

다만 앞서서 말한 것처럼 일정 기간 동안 진료한 의사가 없는 경우야 없겠지만 혹시나 이사를 가서 담당의사를 만나는 것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이라면 따로 동주민센터에 문의를 해주셔야만 한다는 점 꼭 기억을 해주셔야 하겠습니다.

 

 

 

아무튼 의사에게 찾아가서 장애진단의뢰서를 제출하게 되면 장애진단서와 검사결과서 및 진료기록지 등을 받아보실 수가 있겠는데요.

 

 

 

이 서류들을 가지고서 다시 여러분들의 관할 동주민센터에 방문을 하셔서 모든 서류들을 제출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장애인 등록절차가 마무리가 되는 것인데요.

 

 

 

너무 길게 말로만 설명을 해놓았으니 아마 보고서도 어렵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위의 내용 간단하게 정리해서 다시 좀 전달을 해드릴까 하는데요.

 

 

1. 동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한다.

2. 동주민센터에서 장애인진단의뢰서를 발급받는다.

3. 장애인진단의뢰서를 가지고서 병원에 방문한다.

4. 병원에서 장애진단과 검사 및 관련 서류를 받는다.

5. 다시 동주민센터에 방문해서 모든 관련 서류를 제출한다.

 

 

이렇게 하시면 모든 장애인으로의 등록절차가 마무리가 되겠습니다. 이제 남은건 결과를 기다리시는 일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여러분들이 동주민센터에 제출을 한 서류는 동주민센터에서 국민연금공단의 장애심사센터에 보내지게 됩니다. 여기에서 심사를 하게 되는데요. 심사가 마무리가 되면 동주민센터에서 장애인등록증을 발급하게 되고 여러분들은 발급된 카드를 받아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한가지가 있었는데요. 장애인등록증을 받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소요되느냐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방문을 해서 신청한 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약 한달쯤 걸린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겠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여기까지 어떻게 장애인 등록을 하는지 그 절차에 관해서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모두들 잘 이해가 갈만큼 설명이 충분했는지 모르겠군요. 다음에는 장애인으로 등록을 한 경우 어떠한 혜택을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